전체 102

저작물의 성립요건과 보호범위

이길연 | hokma books | 500원 구매 | 200원 3일대여
0 0 475 5 0 60 2020-06-02
[본문 중 일부 발췌] 저작물(著作物, Works)이란 한자어로서 ‘지어서 만든 것’이라는 뜻이며, 저작권법에서도 “저작물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법2조 1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법원도 저작물을 “학문과 예술에 관하여 사람의 정신적 노력에 의하여 얻어진 사상 또는 감정의 창작적 표현물”(대법원 1996. 6. 14. 선고 96다6264)이라고 하여 이를 확인하고 있다.

학교와 저작권법 적용

이길연 변호사 | hokma books | 500원 구매 | 200원 3일대여
0 0 354 7 0 65 2020-05-31
[본문 중 일부]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고 음성·문자·그림·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환경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면서 교육현장에서의 저작물 활용비율이 종전과는 비교할 수도 없이 많아졌다. 거의 모든 교실에는 SMART TV가 설치되어 있고 일부 학교에서는 전자칠판이 도입되는 등 수업에 스마트 기기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지털 장비가 갖추어지자 학교 운동회, 학예회, 운영보고회, 졸업식 등 학교의 주요 행사에서는 거의 모든 순서에 음악과 동영상이 빠지지 않고 있다.

계약서 작성 A to Z

이길연 | 호크마 북스 | 5,000원 구매 | 2,000원 7일대여
0 0 1,686 59 0 222 2020-04-17
안녕하세요, 이길연 변호사입니다. 많은 분들이 '계약서'라고 써진 문서를 보면 어렵다거나 용어가 생소하여 이해하기 힘들어 합니다. 그런데, 계약서에는 일정한 룰이 있습니다. 룰은 꼭 필요한 내용을 순서대로 넣는 것입니다. 아주 특수한 계약이 아니라면 대개는 이런 룰을 지키면 무난한 계약서가 됩니다. 이 책은 그 룰에 대해 아주 기초적인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실제로 계약서때문에 발생한 사례도 소개하여 현장감을 더하였습니다. 책을 꼼꼼히 읽고 나면, 여러분도 계약서를 볼 때 알 수 없는 자신감이 생길 것입니다. 2020. 4. 이길연 변호사 드림

파견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843 14 0 34 2020-04-14
1. 근로자파견사업은 자격요건을 강화함으로써 업체의 난립을 방지하고,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의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해 파견근로자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제도적으로 양성화되었습니다. 궁극적으로 노동시장의 유연성확보라는 목표 아래 근로자 파견근로제가 입법화되었지만, 여전히 근로조건에 대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며 실제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탈법적인 운영은 철저히 감독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여기서는 표준 파견근로계약서를 기본으로 하여, 각 조항에서 근로자들의 근로조건을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지를 살펴보면서 최근의 판례와 행정해석을 종합함으로써 근로자파견계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해보도록 합니다.

연소근로자 계약서 서식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487 13 0 26 2020-04-14
1. 근로계약서는 임금,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하는 것으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 취업장소와 종사업무, 취업규칙 필요적 기재사항, 기숙사 규칙에서 정한 사항 등의 내용을 명시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는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며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합니다. 만일, 서면으로 체결하지 않은 경우 벌금(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과 과태료(기간제와 단시간근로자)가 부과됩니다. 나아가, 작성한 근로계약서는 근로자가 교부의사 표명과 관계없이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교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

정규직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2,549 13 0 87 2020-04-14
(표준) 정규직 근로계약서 서식과 항목별 상세해설 1. 근로계약서는 임금,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하는 것으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 취업장소와 종사업무, 취업규칙 필요적 기재사항, 기숙사 규칙에서 정한 사항 등의 내용을 명시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는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며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합니다. 만일, 서면으로 체결하지 않은 경우 벌금(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과 과태료(기간제와 단시간근로자)가 부과됩니다. 나아가, 작성한 근로계약서는 근로자가 교부의사 표명과 관계없이 반드시 교부해야 ..

일용직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645 13 0 54 2020-04-14
1. 근로계약서는 임금,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하는 것으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 취업장소와 종사업무, 취업규칙 필요적 기재사항, 기숙사 규칙에서 정한 사항 등의 내용을 명시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는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며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합니다. 만일, 서면으로 체결하지 않은 경우 벌금(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과 과태료(기간제와 단시간근로자)가 부과됩니다. 나아가, 작성한 근로계약서는 근로자가 교부의사 표명과 관계없이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교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

기간제 ・ 단시간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370 13 0 40 2020-04-14
1. 근로계약서는 임금, 근로시간 등 핵심 근로조건을 명확히 정하는 것으로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의 권리보호를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 취업장소와 종사업무, 취업규칙 필요적 기재사항, 기숙사 규칙에서 정한 사항 등의 내용을 명시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임금, 소정근로시간, 주휴일, 연차유급휴가는 반드시 서면으로 명시하여야 하며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합니다. 만일, 서면으로 체결하지 않은 경우 벌금(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과 과태료(기간제와 단시간근로자)가 부과됩니다. 나아가, 작성한 근로계약서는 근로자가 교부의사 표명과 관계없이 반드시 교부해야 합니다. 교부하지 않은 경우에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

연봉제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1,782 13 0 100 2020-04-14
1. 근로계약이란 근로자는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것이고, 연봉제는 근로계약의 내용 중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하나입니다. 연봉제는 1년이라는 기간에 해당 연봉을 12달에 나누어 매달 급여일에 해당되는 액수를 지급하게 됩니다. 2. 연봉계약은 기본급여액 및 기타 수당, 지급방식과 지급일, 지급과정에서의 특약사항을 정하는 것이고 이를 문서화하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 근로계약서는 최초 입사 시에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임금 등 근로조건의 내용이 바뀌지 않는 한 근로계약서를 매년 새롭게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매년 임금이 변동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임금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연봉계약서를 변경된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외국인근로자 근로계약서 항목별 상세해설

이길연 | hokma books | 3,000원 구매 | 1,500원 7일대여
0 0 346 15 0 42 2020-04-14
“외국인근로자”란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로서 대한민국에 소재하고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하려는 자를 말합니다(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본문). 외국인이 대한민국에서 취업하려면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받아야 합니다(출입국관리법 제18조 제1항). 대한민국에서 취업활동이 가능한 외국인의 체류자격은 출입국관리법 시행령 제23조에서 자세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은 외국인근로자를 내국인과 동일하게 “근로자”로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근로자는 취업기간 동안 내국인과 동일하게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등 노동 관계 법령의 적용을 받습..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